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41)
Home Assistant 자동화에서 If-Then 과 선택(choose) 은 어떻게 동작할까?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은 홈 어시스턴트의 자동화와 스크립트에서 강력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액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것은 바로, If-Then과 선택(choose) 인데요 이 두가지는 거의 비슷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기본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만약 A라는 조건이면 - a 동작을 실행하라 입니다. 그리고 거기에 더해, A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 b 독작을 실행하라 라고 할 수 있죠. ​ If-Then은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눠집니다. 가장 위 If 영역은 필수값으로, 만약 어떤 조건이면 동작을 실행하라 라는 기준이 되는 상태를 지정합니다. 이곳에서 지정할 수 있는건 자동화의 조건(condition)에서 지정할 수 있는 모든것 입니다. ​ 그리고 Then 영역도 필수값이며, ..
Home Assistant 에서 자동화 실행 중 종료하기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은 홈 어시스턴트 사용중 자동화 동작에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임의로 해당 자동화를 종료하는걸 해볼께요. 자동화의 종료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단 기본적인 구성이 필요합니다. ​ 보통 자동화는, A라는 트리거를 만족하면 -> B라는 조건을 확인 후 -> C라는 동작을 진행합니다. HA에서 지원하는 자동화는 트리거를 여러개 설정할 수 있고, 각 트리거별로 ID를 지정할 수 있으며 동작 진행시 if-then 또는 선택(choose) 등을 통해 해당 트리거 ID별로 동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HA의 자동화 동작방식은 단일, 재시작, 대기열, 병렬 등 4가지 개념이 존재합니다. https://blog.naver.com/ray0412/222727263734 기본 개..
HomeAssistant 사용시 YAML 에디트 팁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은 홈 어시스턴트 사용시, 여러가지로 사용할 수 있는 yaml 에디트 팁 몇개를 가지고 왔습니다. ​ 일반적으로 HA에서 yaml 에디트를 사용할때는, UI편집시 / 자동화 or 스크립트 구성시 / file editor 사용시 등 기본적인 설정이 아닌 좀 세부적인걸 다루고 싶을때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은 UI에디터로 충분히 가능한 부분들이라 자주 안 쓰시겠지만, 키보드에서 단축키를 쓰면 마우스 사용하는것 보다 빠르듯, 익숙해지면 쉽고 빠르고 강력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들여쓰기 단축키 그런데 yaml 에디트를 사용하다 보면 실수할 가능성이 엄청 높은게 있습니다. 바로 들여쓰기(indent) 인데요 이건 yaml 에디트를 할때 정말, 매우, 너무나 중요한 부분입니..
Windows 11에서 battery bar 표시하기.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노트북, 태블릿 사용자의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는 battery bar.. 바로 배터리바 프로그램을 윈도우 11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입니다. ​ 노트북이나 태블릿 배터리의 잔여시간을 알 수 있고, 현재 방전률을 기반으로 예상 사용시간까지 표시해줘서 좋죠. 하지만, 이녀석이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표시가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그 이유는, 윈도우11의 작업표시줄 설정때문인데요.. 그래서 보통 네이버나 구글등에 batterybar windows11 등으로 검색하면, 플로팅 툴바를 사용하라고 안내가 나옵니다. 플로팅 툴바는, 말 그대로 하나의 프로그램처럼 배터리바를 띄워주는건데요... 기존에 쓰던 깔끔한 작업표시줄 배터리바와 비교할때 좀 없어보이는게 사..
HomeAssistant의 자동화를 알아보기 - 6.자동화 구성(스압주의)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은 홈 어시스턴트 자동화에 대해 알아보기 마지막 시간, 자동화 구성시의 고려사항과 주의사항 입니다. 이 시간을 마무리 하면, 대략적인 자동화 구성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을겁니다. 지난시간에 자동화의 기본구조 및 구성시 테스트를 위한 도구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그럼 본격으로 자동화를 구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1. 집안이 어두울때만 동작하는 거실용 센서등을 구현해 봅시다.(이거 만드느니 그냥 센서등 하나 사서 다는게....) 어두울때 모션센서가 감지되면, 불을 켜고, 일정시간 후에 끄자 제가 원하는 자동화 동작은 위와 같습니다. 밤에 물마시러 갈때, 화장실 오갈때 어둠을 밝힐 용도죠. ​ 일단 필요한걸 알아봅시다. 트리거가 될 모션센서가 필..
HomeAssistant의 자동화를 알아보기 - 5.유용한 도구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자동화 알아보기 기초단계, 거의 끝까지 왔습니다! 이번시간엔 자동화 구성을 진행할때 알고있으면 유용한 도구 몇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 우선 자동화란, 필수 요소 2개와 그 사이에 들어가는 선택적 요소 1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필수 구성요소는, 자동화의 시작지점을 결정하는 '트리거' / 그리고 '동작' 입니다. 이 사이에 '조건' 값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자동화인 센서등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움직임이 감지되면 -> 불을 켜라 매우 간단하죠? ​ 켜졌다면, 끄기도 해야겠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 불을 꺼라 이렇게 2가지 자동화는 일반적인 센서등의 기본 자동화 입니다. ​ 조금 더 해볼까요? 움직임이 감..
HomeAssistant의 자동화를 알아보기 - 4.동작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홈 어시스턴트 자동화 알아보기 네번째 시간, 동작에 대해서 입니다. ​ 언제나 그렇듯, 자세한 내용은 공홈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ome-assistant.io/docs/automation/action/ ​ ​ 트리거가 자동화의 시작이라면, 동작은 자동화의 끝 입니다. 그만큼 할 수 있는것도 많고, 복잡하기도 하죠. If-then, 기기, 미디어 재생, 반복, 병렬실행, 서비스 호출, 선택, 이벤트 발행, 장면 활성화, 조건, 중지, 지연 시간, 템플릿 대기, 트리거 대기... 이중 if-then과 병렬실행, 중지 는 2022.05 버전에 추가된 신기능 입니다. ​ ​ 공통사항 트리거, 조건과 마찬가지로 동작에도 우측 상단의 3점을 누르면 공통 메뉴..
HomeAssistant의 자동화를 알아보기 - 3.조건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갑자기 급 월급루팡을 하고싶어서... 작정하고 여러개 만들고 있네요! 이번시간은 자동화 알아보기 세번째 시간으로, 조건(contition)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역시나 공식문서가 가장 확실하죠? https://www.home-assistant.io/docs/scripts/conditions/ 자세한 내용은 이쪽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조건도 마찬가지로, 제가 쓰는것만 주로 쓰기때문에...설명 수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조건은 공통적인 내용이 트리거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간단하게만 진행하겠습니다. YAML로 편집하기는 UI가 아닌 YAML방식으로의 편집을 의미하며, 트리거와 마찬가지로 비활성화도 가능하고, 복제/삭제는 뭐... 아시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