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Home. IoT/SmartHome 기본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HA는 처음이라서요] 1. 연재를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레이 입니다.오랜만에 새로운 시리즈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이번 시리즈의 목표는 이제 막 스마트홈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분들,그중에서도 HA(Home Assistant)가 궁금하신 입문자 분들에게 하나의 이정표가 되는것 입니다.물론 일반적인 스마트홈 구축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그럼 한번 시작해 볼까요? 시작 전 고려해야 할 것들 스마트홈은 스마트하지 않다.우선, 현 시대의 스마트홈은 생각만큼 스마트 하지 않다는 한계를 알아야 합니다. 생각만큼 스마트하지 않다는건 어떤걸까요?우리가 하고싶은걸 하려면, 그에 관한 내용을 내가 알고, 선택하고, 진행해야 한다는 의미 입니다.기계가 다 알아서 해주는... 그런 스마트함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이죠.물론 알아야 할 내용이나 설정.. NUC/미니PC에 HAOS 설치하기 - SSD 분리 없이 진행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HA사용에 가장 최적화된, HAOS 설치에 관한 내용 입니다. NUC나 미니PC를 HA용 서버로 쓰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도 NUC를 사용하고 있구요. 아무래도 성능이 좋기 때문에 여유로워서 많이 사용하는 장비인데, 한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HA전용으로 쓰기위해 HAOS 설치를 하려면 보통 SSD를 분리해서 이미지를 넣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 작업의 가장 큰 문제는, SSD의 규격이 다양하고(SATA, M.2 SATA, NMVE) 그에 따라 PC와 연결할 장치가 달라진다는 것이죠. 하드웨어에 관한 관심이 적다면 NUC에 사용중인 SSD가 어떤 방식인지 알기위해 또 공부를 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방식을 안다고 해도 SSD 연결을 위한 컨버터를 보유.. Home Assistant로 스마트홈을 만들때 알아야 할 것들 - 1. H/W편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본 시리즈는 Home Assistant로 스마트홈을 구축할때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려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HA를 시작하기 전 알아야할 내용들, 그중에 하드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의 내용이 정답은 아니지만, 먼저 경험해본 사용자 입장에서의 경험담 이니... 입문하실때 참조를 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하드웨어 선택의 이유 HA를 입문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건 설치를 어디에 /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입니다. ST나 허비탯, 샤오미, 투야 같은 플랫폼들은 기본적으로 제조사에서 판매하는 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껏해야 2~3개정도 기기(허브 모델)중 어느걸 쓸까? 정도의 선택을 하면 되고 그마저도 어느걸 선택해도 사용하는데는 거의 동일.. HomeAssistant의 자동화를 알아보기 - 3.조건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갑자기 급 월급루팡을 하고싶어서... 작정하고 여러개 만들고 있네요! 이번시간은 자동화 알아보기 세번째 시간으로, 조건(contition)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역시나 공식문서가 가장 확실하죠? https://www.home-assistant.io/docs/scripts/conditions/ 자세한 내용은 이쪽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조건도 마찬가지로, 제가 쓰는것만 주로 쓰기때문에...설명 수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건은 공통적인 내용이 트리거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간단하게만 진행하겠습니다. YAML로 편집하기는 UI가 아닌 YAML방식으로의 편집을 의미하며, 트리거와 마찬가지로 비활성화도 가능하고, 복제/삭제는 뭐... 아시죠?.. HomeAssistant의 자동화를 알아보기 - 2.트리거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은 홈 어시스턴트 자동화 알아보기 2편, 트리거에 대하여 입니다. 트리거, 조건, 동작은 동일한것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부분입니다. 이번 강좌는 기본적인 내용 알아보기인 만큼, 각 메뉴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겠습니다. https://www.home-assistant.io/docs/automation/trigger/ 트리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 원문을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트리거는 꽤 많은 종류가 존재합니다. Home Assistant, MQTT, 기기, 달력, 상태, 수치 상태, 시간, 시간 패턴, 웹 훅, 위치정보, 이벤트, 지역, 태그, 태양, 템플릿... 다양하죠? 이것들을 거의 다 쓰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주로 상태, .. 2021.7 버전에 추가된 Trigger ID란 무엇인가?[출처] 2021.7 버전에 추가된 Trigger ID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랜만에 HA설정에 관한 팁 포스팅 입니다! 오늘 알아볼건, 2021.7 버전에서 추가된 Trigger ID라는 기능 입니다. https://www.home-assistant.io/blog/2021/07/07/release-20217/#trigger-conditions-and-trigger-ids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 기능은 이름에서도 매우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생겼네요. 바로 자동화의 시작지점을 결정하는 트리거에 ID를 지정해줄 수 있는 기능입니다. 물론 이건 자동화를 트리거별로 만드는 분들에겐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자동화를 좀 줄여보자! 라는 마음으로 한 자동화에 트리거를 여러개 넣고, 선택(choose) 나 조건(condition.. HA 2021.6 이후버전 에서 커스텀 컴포넌트 동작 안 될때.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Home Assistant가 2021.6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변경된 점이 발생하였습니다.. https://www.home-assistant.io/blog/2021/06/02/release-20216/#other-breaking-changes 업데이트 내용중에,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Custom integrations (custom_components) As mentioned in every release since 2021.3, custom integrations will require a version key in their manifest file. As of this release, if that version key is missing in the .. Zigbee2MQTT 의 버전이 1.18.1-1 에서 더이상 안 올라갈 때.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는것 같습니다! 잘 지내시죠? 오늘은 Zigbee2MQTT의 버전에 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여러분들께서 많이 사용하시는 애드온중 하나인 Zigbee2MQTT의 현재 최신버전(2022년 1월 15일)은 1.22.2-1 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슈퍼바이저 대시보드에 들어가도 1.18.1-1 에서 업데이트가 안 뜨는 분들이 계시죠? 그런분들은 아마 저장소(repostory)가 기존것으로 되어있을겁니다. 예전엔 저장소가 https://github.com/danielwelch/hassio-zigbee2mqtt 라는 주소로 되어있었는데, 현재는 공식적인 계정인 https://github.com/zigbee2mqtt/hassio-zigbee2mqtt 로 변경되었..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