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는것 같습니다! 잘 지내시죠?
오늘은 Zigbee2MQTT의 버전에 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여러분들께서 많이 사용하시는 애드온중 하나인 Zigbee2MQTT의 현재 최신버전(2022년 1월 15일)은 1.22.2-1 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슈퍼바이저 대시보드에 들어가도 1.18.1-1 에서 업데이트가 안 뜨는 분들이 계시죠?
그런분들은 아마 저장소(repostory)가 기존것으로 되어있을겁니다.
예전엔 저장소가 https://github.com/danielwelch/hassio-zigbee2mqtt 라는 주소로 되어있었는데,
현재는 공식적인 계정인 https://github.com/zigbee2mqtt/hassio-zigbee2mqtt 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면서 기존의 저장소를 더이상 업데이트 하지 않아서 1.18.1-1 에서 버전업이 되지 않는 것 입니다.
1.18.2 버전부터는 Permit Join시 255초 이후 자동 Disable 기능 추가(zigbee 표준 준수) 되는 등
기능 추가 / 지원장치 추가등이 되어있으므로 가능하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주셔야 합니다.
다음 순서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1. 구성하기 - Supervisor - zigbee2mqtt -> Configuration(구성) 페이지로 이동하여 내용 전체 복사(메모장 등에 보관)
(혹시 UI로 보여서 내용이 잘 안보인다면, 우측 상단 3점 - YAML로 편집하기 후 내용 복사)
2. Info(정보) 페이지로 이동하여 Zigbee2MQTT 삭제(Uninstall)
3. Supervisor - Add-on Store(애드온 스토어) - 우측상단 3점 - Repositories(저장소) 진입
4. 기존 저장소 삭제 -> 신규 저장소(https://github.com/zigbee2mqtt/hassio-zigbee2mqtt) 추가
5. 애드온 스토어 리스트에 있는 Zigbee2MQTT 설치
6. Configuration(구성) 페이지로 이동하여 전체 삭제 - 복사해둔 내용 넣기
7. 저장 후 Info(정보) 페이지로 이동하여 Start(시작)
이렇게 진행하시면, 따로 페어링 하지 않고도 최신 저장소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니, 작업전엔 항상 스냅샷을 생성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위 과정중 6번 구성을 붙여넣는 과정에서 옵션으로 몇가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예전엔 zigbee2mqtt의 구성파일을 두는 경로가 share/zigbee2mqtt 였으나
바뀐 저장소 에서는 config/zigbee2mqtt 로 변경되었습니다.
(configuration에 data_path: 부분)
기존 경로를 사용하시려면 share/zigbee2mqtt로 그대로 붙여넣으시면 되고,
경로를 바꾸려면 기존의 파일을 config/zigbee2mqtt로 복사한 다음,
해당 부분을 변경 하셔도 됩니다.
파일의 복사 방법은 SAMBA등을 사용하셔야 하니 이 부분은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
mqtt항목에 base_topic, server, user, password 의 4개 항목을 사용하셨을수도 있는데,
mqtt브로커를 supervisor 의 Add-on으로 설치하셨다면 base_topic 이외의 것은 지우셔도 상관 없습니다.
mqtt와 zigbee2mqtt의 로그인을 SSO형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서버접속관련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물론, 별도로 mqtt서버나 계정을 사용하신다면, 이 부분도 필요합니다.
자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
'SmartHome. IoT > SmartHome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7 버전에 추가된 Trigger ID란 무엇인가?[출처] 2021.7 버전에 추가된 Trigger ID란 무엇인가? (0) | 2022.01.16 |
---|---|
HA 2021.6 이후버전 에서 커스텀 컴포넌트 동작 안 될때. (0) | 2022.01.15 |
HA에 불쾌지수 센서를 추가하기. (0) | 2022.01.15 |
홈 IoT의 가장 기본, 플랫폼 이란? / 스마트홈 구축시 생각할 것들 (0) | 2022.01.15 |
HomeAssistant(HA) 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