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rtHome. IoT/SmartHome 팁

[정보]전등 스위치용 중성선, 콘센트에서 끌어도 되나요?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오늘 다뤄볼 내용은, 3선식 전등스위치 설치시 고민을 하게 만드는..

중성선 포설에 관하여 입니다.

우리나라에 설치된 대부분의 전등 스위치는 2선식 입니다.

스마트 스위치 2선식? 3선식?? / 2선식 잔광의 원인과 대처 (tistory.com)

혹시 2선식과 3선식의 구분이 필요하신 분은 위 글을 한번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홈IoT작업을 하다보면, 가장 고민되는 부분이 바로 스위치 인데요

댁 내에 포설된게 대부분 2선식 구조이기 때문에, 2선식을 지원하는 스위치를 사용하는게 가장 간편합니다만

설치된 전구의 종류나 용량등에 따라서 혹은 사용하려는 스위치 종류에 따라서

3선식으로 구성을 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차단기에서 H(활선) 이 스위치로 향하고, 스위치에서 전등으로 연결됩니다.

이 H - L 간을 연결하고/끊는 역할을 스위치가 하는거죠.

그리고 전등(부하) 부분을 거쳐 차단기로 연결된 선은 보통 N(중성선) 입니다.

이 경우 3선식 스위치 혹은 이너릴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하-차단기 사이를 연결하는 N 선을 스위치 박스까지 끌어내리는게 일반적 입니다.

하지만 가끔 보면 스위치박스 아래쪽에 콘센트가 있고, 해당 콘센트까지 선이 연결된걸 볼 수 있습니다.

콘센트는 H과 N이 모두 들어가야 하므로, 거기서 N선을 따오면 매우 편하게 작업이 가능하죠.

또 일부 스위치는 전등/전열이 함께 들어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콘센트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전등스위치와 합쳐져 있는 경우도 있죠.

위 스위치는 잘 보시면, 전열 라인에 N이 들어오지면 L이 전열/전등이 분리되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즉, 동일한 스위치박스에 포설되어 있지만 전열/전등은 서로 다른 차단기에서 선을 끌어온거죠.

이런걸 보면, 의문이 생깁니다.

이미 끌어와 있는, 혹은 바로 근처에 있는 콘센트용 에서 N선을 뽑아와서 연결하면,

간단하게 3선식이 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죠.

오늘 이야기해볼 주제가 바로 이것입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려면, 일단 가장 처음으로 해야할건 차단기의 구분 유무 입니다.

전등/전열이 동일한 차단기에 연결

첫번째 경우로, 전등 스위치와 콘센트가 동일한 차단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확인 방법은 하나의 차단기를 내렸을때 전등/전열이 모두 꺼진다면 동일한 차단기에 연결된거겠죠.

음... 일반적인 대한민국 주택 시공에서 많이 쓰이는 방법은 아니지만, 이렇게 시공을 하기도 합니다.

보통 1개의 방 혹은 구역을 정해서 그쪽을 담당하는 전열/전등을 하나의 차단기로 묶는 방식인데요

한쪽을 공사하거나 뭔가를 할때 다른쪽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죠.

예를들어 방에 전등을 바꾸고 싶다면, 그 방의 차단기만 내리고 교체하면 간편하니까요.

(보통 전등 교체를 하려면, 집 전체의 전등 차단기를 내리고 교체합니다)

이 경우는 정말 단순합니다.

그냥 콘센트에 연결된 N을 따서 스위치쪽으로 올라오기만 하면 됩니다.

참...쉽죠?

전등/전열이 다른 차단기에 연결된 경우

다음은 가장 일반적인 시공상태 입니다.

전등용 차단기와 전열(콘센트)용 차단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 이죠.

하나의 차단기(전등)을 내려도, 다른 장치(콘센트)는 동작이 된다면 차단기가 다른겁니다.

이 경우는 여러 조건을 따져서 콘센트의 N라인을 끌어다 써도 되는지가 결정됩니다.

이걸 알려면 일단 차단기의 종류를 알아야 해서... 공부 후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차단기의 종류

차단기에는 크게 배선차단기와 누전차단기가 있습니다.

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
합선 및 과부하시 차단

누전을 감지하지 못함

전자제품의 보호 목적으로 적합

스위치 용도로 사용 가능(간판의 On/Off등)

배선차단기 만으로 회로 구성 불가(불법)

합선, 과부하, 누전시 차단

전자제품의 보호, 인체의 보호 목적으로 적합

스위치 용도로 사용시 고장날 수 있음
 

현행법상 가정에는 무조건 누전차단기가 들어가야 합니다.

하지만 누전차단기와 배선차단기의 목적이 좀 다르고 가격도 다르기 때문에

보통은 섞어서 구성을 하는 편 입니다.

배선차단기와 누전차단기를 구성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메인 차단기에 용량 큰 배선차단기를 두고

각 라인별로 작은 용량의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방식 입니다.

이 방식은 각각의 라인별로 누전을 감지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많이 쓰이는 방법이지만

보통 동일용량일때 누전차단기가 배선차단기 보다 비싸기 때문에

구성 금액이 더 많이 들어갑니다.

요즘에 많이 쓰는 방식은 아니지만, 메인 차단기가 누전차단기 이고

개별 차단기는 배선차단기로 설치한 경우 입니다.

여기까지만 하면 좋겠지만, 누전차단기는 또 종류가 나눠집니다.

고감도 누전차단기가 있거든요...

누전차단기란?

누전차단기는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H로 보내고 부하에서 일을 시키고 나머지 만큼 N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일부가 회로 밖으로 빠져나간다면 그걸 누전이라고 합니다.

접지가 잘 안된 전자기기를 만지면 찌리릿 하고 전기 오는거 아시죠? 이것도 누전의 일종으로 보시면 됩니다.

전기선 잘못 만지면 감전이 되는데, 이건 H쪽으로 들어온게 몸을 통해서 바닥(G, 접지) 로 빠져나가는거죠.

그러면 차단기에서 느낄때는 H로 나간만큼 N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나가기만 하는거니 이상하겠죠?

그러면 누전으로 인식해서 차단을 해버립니다. 그래서 누전차단기는 인체보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거죠.

누전차단기 스팩을 보면, 정격감도전류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30mA(0.03A) 로 표기되어 있고

고감도 누전차단기는 15mA(0.015A) 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누전이 일어나서 전류가 누설되는 경우, 일반 누전차단기는 30mA만큼 누설되면 차단되고

고감도 누전차단기는 15mA만큼 누설되면 차단되는거죠.

일반적으로 30mA짜리를 주로 쓰며, 욕실이라던지 습기가 많은 공간을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

15mA짜리 고감도 누전차단기를 사용합니다.

자 차단기 이야기 했으니 이제 다시 전등/전열로 돌아가보시죠.

누전 차단기가 메인차단기인 경우

먼저 조금 쉬운경우 입니다.

메인 차단기가 누전차단기 이고, 전등과 전열은 분리되어 있지만

둘 다 배선차단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이때는 전열쪽에 연결된 N선을 뽑아서 전등 스위치에 꼽아도 별 영향이 없습니다.

배선차단기는 말 그대로 스위치와 합선, 과부하 방지 역할만 하기때문에

차단기 각각으로 보면 누전이 일어나는 상황이지만

회로 전체(누전차단기 아래를 1개의 회로)로 보면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 도는것이기 때문에 누전이 일어나는게 아닙니다.

배선차단기가 메인차단기인 경우

다음으로는 배선차단기가 메인이고, 개별 차단기가 누전차단기인 경우 입니다.

이때는 생각해야 할게 상당히 많아집니다.

누전차단기엔 위에 말씀드린것 처럼 정격감도전류 라는게 존재합니다.

30mA짜리라면 그 이하로 누전되면 안 떨어지는것이죠.

보통 AC는 전압x전류 공식이 통하지 않지만(조금 다릅니다) 대충 계산해 보면

30mA짜리면 6w, 15mA짜리라면 3w 정도 까지는 누전이 되어도 안 떨어질겁니다.

만약 스마트 스위치에서 동작을 위해 소모되는 전력이 5W라면,

전등/전열의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가 둘 다 30mA짜리라면 사용할 수 있을꺼고

둘중 하나라도 15mA짜리라면 차단기가 내려가서 사용하지 못할겁니다.

하지만 스마트스위치 자체 전력 소모량은 대부분 1w안쪽이기 때문에

그로 인해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는 어려울겁니다.

다만 이건 전등/전열 라인에 누전이 0 일때가 기준인것이죠.

선로/연결된 장치의 노후나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회로 내에 미세한 누전이 있는 경우를 가정해 봅시다.

고감도(15mA짜리) 회로에 약 10mA정도의 누전이 발생하고 있다면, 차단기는 떨어지지 않고 잘 동작할거예요.

그런데 여기다가 옆 차단기랑 연결한 스마트 스위치가 들어간다면, 그 스위치에서 누설되는 용량이

5mA만 되어도 회로 내 총 누설 전류량이 15mA가 넘어가므로 차단기가 떨어집니다.

나름 열심히 풀어쓴다고 해봤는데 이해가 되시려나 모르겠네요...

제가 전기쪽 전공은 아니라서...ㅠ.ㅜ

자 그래서...결론은 무엇인가요....?

전기쪽은 전문가에게 의뢰하세요...아니면 정말 충분한 공부를 하신 다음 시도하시기 바랍니다...!

전기는 위험해요........

자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

다음에 또 재미난거 들고 올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