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이군 입니다.
요즘 제가 HA설치에 관련된 내용들을 올리면서...
대체 왜 이렇게 방법이 다양한가? 에 대한 내용은 전달해 드린적이 없는듯 해서 한번 적어볼까 합니다.
일단 HA는 기본적으로 다른 IoT용 플랫폼들처럼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패키지가 아닌
소프트웨어만 존재합니다.(물론 HA 블루, 앰버 등의 하드웨어도 나오긴 합니다만....)
그렇기 때문에 HA는 다양한 설치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HA도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일단 하나씩 알아볼께요.
![](https://blog.kakaocdn.net/dn/cDUzyB/btrEYAgdImu/7FnJho7jN2Du2KzGmDgf00/img.png)
HA 공홈의 설치안내 페이지에 있는 부분 입니다.
가로는 설치방법의 구분, 세로는 기능별 지원가능 여부 입니다.
설치방법은 크게 OS / Container / Core / Supervised 로 나눠집니다.
기능 부분은 위에 4가지는 동일하고, Uses container 부분은 Core만 x가 쳐져 있죠.
Supervisor와 Add-ons는 OS와 Supervised에만 체크되어 있고
백업은 전부 체크되어 있지만, Container와 Core에는 주석이 붙어있습니다.
그 이유는, 원래 백업은 supervisor의 기능이었는데 Intergrations에 추가할 수 있어서 입니다.
Managed OS는 OS에만 체크되어 있네요.
이걸 간단하게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B61W/btrEXkepNLm/K4KztBIHbcangaAW3QMFtk/img.png)
HA의 기본 기능(Automations, Dashboards, Intergrations. Blueprints)만 있는게 HA Core 이고
이걸 Docker에 올려서 쓸 수 있는 Container 형태로 만든게 HA Container 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Supervisor 기능과 Add-ons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게 HA Supervised 이며
이 모든걸 포함해서 OS까지 통합해서 만든것이 바로 HA OS 인거죠.
간단....하죠? 아마...?
HA Core
HA Core는, HA의 기본적인 기능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건 일반적으로 venv 가상환경으로 동작합니다. 설치 난이도와 유지보수 등 때문에 그리 권장하지는 않지만
자원 소모 측면에서 가장 가볍기 때문에 특수 목적으로는 쓸만합니다.
HA Container
위에 설명드린 HA Core가 venv 환경에서 동작하는것인데, 이걸 Docker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만든 것 입니다.
venv 대신 docker container 로 동작시키는거죠.
docker만 동작되면 어디든지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설치의 난이도 면이나 범용성 면에서 매우 좋습니다.
HA Supervised
HA의 기본기능 이외에도 수퍼바이저의 특수 기능들, 그리고 Add-ons를 쓸 수 있습니다.
이것도 docker container 방식으로 동작을 합니다.
Supervisor 구동을 위한 서비스들을 설치하고, 그걸 베이스로 필요한 각종 컨테이너를 설치한 다음
HA container 까지 설치하게 됩니다.
다만 HA Container보다 설치가 복잡합니다. 장치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도 좀 다르구요.
HA만 쓴다면 구태여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럴땐 HA OS가 최고거든요.
하지만 홈서버에서 홈브릿지 라던지, ST용 각종 커넥터, 기타 각종 서비스 등 여러가지를 돌린다면,
HA OS로는 한계가 있어 패스, HA Core나 Container는 딱 HA 본연의 기능만 하기때문에
두가지를 다 충족시키는데는 HA Supervised 방식의 설치가 적당하겠죠.
HA OS
HA Supervised 방식에 OS까지 맞춰서 구성된 형태 입니다.
라즈베리파이, NUC등 구성만 맞추면 그냥 넣고 부팅하면 모든게 다 되니 매우 편합니다.
대신 HA 이외의 용도로 활용하기에 상당히 난해합니다.
전용 머신으로 쓴다면, 이것만한게 없지요...
추가 : HA OS(VM)
추가적으로 HA OS를 VM(Virtual Machine, 가상머신) 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건 가상머신을 돌릴 수 있는 베이스 위에 HA OS를 올려서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장치를 HA 전용으로 쓰지 않고 다목적으로 쓸 수 있지만, HA의 동작은 HA OS로 함으로써
다양성과 편의성, 안정성을 모두 이룰 수 있습니다.
VM는 시놀로지에 VMM을 설치해서 돌릴수도 있고
라즈나 NUC등에 proxmox 또는 exsi 등 VM용 호스트를 설치해서 돌릴수도 있습니다.
TV에 연결한 HTPC등이 있다면, 미디어서버로 쓰면서 VM으로 HA 머신으로 쓸수도 있는거죠.
다만, VM이란건 가상의 장치를 만들어 돌리는것이기 때문에 원래 하드웨어의 자원을 끌어다 씁니다.
즉, 단독으로 HA OS를 돌리는것에 비해 동일 퍼포먼스를 내기 위해서 더 높은 CPU, RAM이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HA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제 머신에 따른 설치방법을 나눠보겠습니다.
보통 HA를 설치하는 장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오드로이드 계열 / NUC 및 미니PC 종류 / 시놀로지 NAS(+급 이상)
자주 사용하지 않는 HA Core는 제외하고 설명드릴께요.
|
라즈베리파이 계열
|
NUC/미니PC
|
시놀로지 NAS
|
HA Container
|
O
|
O
|
O
|
HA Supervised
|
O
|
O
|
△ |
HA OS
|
O
|
O
|
X
|
HA OS(VM)
|
O
|
O
|
O
|
보시는것 처럼, 라즈베리같은 원보드 컴퓨터 또는 NUC 같은건 어떤 수단을 써도 설치가 가능하고
시놀로지 NAS 에서는 HA OS설치가 불가능 합니다. HA OS는 당연히 DSM이 있으니 설치가 안되는게 맞겠죠.
DSM 6.x 시절엔 HA Supervised 설치가 가능했는데, 7.x 로 넘어오면서 많이 복잡해 졌습니다.
설치는 어떻게든 가능한데, USB 장치 마운트도 어렵고... 쉽게 권장해 드리긴 힘들겠네요
설치방법과 설치 장치에 따라서 가능/불가능을 떠나 효용성을 따지면 권장할만한게 나옵니다.
라즈베리
+ Container = 추천, 가볍게 쓰기 좋음
+ Supervised = 추천, 다양한걸 하기 좋음
+ OS = 추천, HA전용으로 쓰기 가장 적합
+ VM = 비추, VM돌리기엔 라즈가 좀...
NUC
+ Container, Supervised = 라즈베리파이와 비슷
+ OS = 비추, NUC의 자원을 HA 전용으로만 돌리기엔 낭비가 큼
+ VM = 추천, 이것저것 하기 좋음
NAS
+ Container = 추천, VM이 불가능한 경우(Btrfs포맷이 아니라거나) / 사양이 부족할때 가볍게 쓰기 좋음
+ VM = 추천, 시놀로지에서 HA를 제대로 구성하려면 이 방법이 최고(사양 문제 있을 수 있음)
장치 / 사양에 따라서, 그리고 설치 방법에 따른 장단점들이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혹은 투자 예정인) 장비의 수준을 파악하고, 성향을 파악해서 설치방법을 정하세요.
예전같으면 라즈베리파이 하나 사서 HA OS로 찍먹 한번 해보고, 괜찮다 싶으면 NUC나 NAS 지르세요 하겠는데..
요즘 라즈베리파이 가격이 미쳐서, 찍먹이라고 볼 수 없네요..
라즈4 사느니 이베이에서 NUC 오퍼 넣는게 나은것 같거든요.
자 오늘은 다양한 HA의 설치방법이 왜 있는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HA를 처음 시작할때, 대체 이게 뭔 소리인지 해서 많이 어려우실텐데,
이 글이 약간의 길잡이가 되길 바랍니다.
다음에 또 뵈요~
'SmartHome. IoT > SmartHome 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Assistant(HA) 의 {매우}기본적인 이해 - 2편(도우미 기초) (0) | 2022.06.24 |
---|---|
HomeAssistant(HA) 의 {매우}기본적인 이해 - 1편 (0) | 2022.06.23 |
시놀로지 NAS에 VMM으로 HomeAssistant 설치하기 (0) | 2022.06.16 |
HA 설치방법 최신화(라즈비안 + HA Supervised) (3) | 2022.06.14 |
Home Assistant 자동화에서 If-Then 과 선택(choose) 은 어떻게 동작할까? (0) | 2022.05.30 |